CULTURE

시인은 왜 미안한가

2008.11.24GQ

함민복 시인은 ‘세월2’ 라는 시에서 ‘마음다치지 말게, 질긴 꽃잎은 없다네’ 라고 노래했다. 그는 세월 앞에서 고개를 수그리고 자연이 다칠세라 미안해한다. 강화도에서 10년 동안 홀로 살아온 그가 바다와 갯벌과 망둥이의 언어로 두 번째 산문집 <미안한 마음>을 썼다.

산문집 제목이 <미안한 마음>이다. 뭐가 그렇게 미안한가? 혹 시를 못 쓴 것에 대한 ‘미안한 마음’은 아닌가?그것도 그렇고. 책 구절 중에 ‘사람이어서 미안한 마음’이라는 게 있다. 사람을 중심으로 생각하는 것들. 자연을 아무렇게 생각하고 그런 것. 내 감각에 대한 반성도 있다. 내가 못 먹는 것, 내가 취할 수 없는 것, 내가 상했다고 냄새를 맡는 감각들이라는 것이 이기적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 자세로 삶을 살아온 것에 대해 미안한 마음이 들었다. 내가 집안에 별 도움이 못되는 것도 미안하다. 사실 <미안한 마음>은 마음에 드는 책 제목은 아니다.

왜 마음에 안 드나?
시‘흔들린다’에 쓴 것처럼, 제목을 ‘흔들리지 않으려고 흔들리는 나무처럼’이라고 짓고 싶었다. 출판사에서 너무 길다고 하더라. 내 보기엔 흔들림이 건강한 것 같다. 부족하더라도. 결국 이 산문집의 내용이 흔들렸을 때의 기록들이니까.

<말랑말랑한 힘>으로 김수영 문학상 받았을 때도 수상 소감에 ‘앞으로 흔들리지 않기 위해 흔들릴 거다’ 라고 썼다. 누구보다 흔들리지 않는 삶을 살아왔다고 생각하는데, 아닌가?
아니, 갈등이 많다. 하고 싶은 걸 하고 사는 굉장히 이기적인 삶이다. 올해 늦가을쯤 시집을 하나 낼 생각인데, 거기에도 그런 얘기를 쓸 생각이다.

시를 쓴다는 게 이기적이라고 생각하나?
그렇다. 이렇게 살아도 되는가 하는 생각이 든다. 그렇다고 다른 것 할 수도 없고. 세월이 흘러 흘러 이렇게 살아온걸.

우리에겐 시인이 시를 쓰지 않는 게 더 이기적으로 보인다.
내가 낸 시집들이 마음에 들진 않는다. 너무 어려서 막 낸 것도 있고. 오늘 인터넷을 열어놓고 보니까 내가 12월이나 1월, 겨울에 시집을 주로 냈더라. 미루고 미루다가 겨울엔 바다도 안 나가니까 그때 책을 낸 거다. 최선을 다해서 써야 하는데 내가 왜 이러고 있는지 모르겠다.

마감 때문에 어거지로 책을 낸 것 같나?
그렇다. 출판사에서 강요하지 않았으면 책을 못 냈을 거다. 미루고 미루다가 냈다. 이번 산문집도 원고량도 너무 작고 부족한 책이다. 왜 이렇게 끈기가 없는지. 누가 놀자 그러면 그 핑계로 안 쓰는 거다. “바빠?”그러면 “뭐 나중에 해도 돼요”그런다. 얼씨구나 하고 나가는 거다. 만날 고기나 잡으러 다니고.

‘어민 후계자 함현수’란 시를 쓰더니 어민 후계자 ‘함민복’이 됐다.
그렇다. 요즘엔 물고기에 관한 글을 좀 써보려고 한다. 물고기 찍으려고 디지털 카메라도 하나 샀다. 그 사람들이랑 고기 잡으러 놀러 다니는 게 제일 재밌다. 낙지 잡고 숭어 잡고. 고기 잡는 방법 같은 것도 보고 있으면 참 재밌다. 술도 걸치고. 고기 잡으면 기분 좋으니까 그분들이 술 한 잔 걸치자고 하고, 또 안 잡히면 안 잡혔다고 마시잔다.

글 쓰는 사람들은 직접 경험하지 못한 것들을 내가 쓰는 언어로 과연 따라갈 수 있을까, 내가 쓰는 게 가짜는 아닐까 그런 의심과 콤플렉스가 있는 것 같다. 어부들을 보면 오히려 시가 안 써질 것 같은데, 어떤가?
그들하고 있으면 내가 들은 말들을 그대로 옮기는 게 차라리 낫지 않을까 싶다. 내가 시라는 형식을 빌려서 쓰면 그런 말들이 죽지 않는가, 그런 생각 든다. 이야기체 형식의 시를 써야 하는 건 아닐까 싶고. 세계 예술대학은 다 도심 한복판에 있다고 들었다. 사람들과 가장 많이 부대끼는 게 예술일지도 모르겠다. 강화도에 일부러 내려간 건 아니니까. 경제적인 여건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그렇지만 거기에서 느끼는 삶의 문제라고 도심의 삶과 크게 다른 건 아닌 것 같다.

시를 못 쓰면 소설을 쓰고 소설을 못 쓰면 평론을 쓴다는 말도 있는데, 혹시 시 쓰기 힘들어서 산문을 쓴 건가? 당신의 유명한 첫 번째 산문집 <눈물은 왜 짠가>에도 불구하고 사실 독자가 시인들에게 기대하는 건 산문집이 아니다. 왜 시인들이 자꾸 산문집을 내는 걸까?
산문을 쓰는 건 돈이 되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시는 안 봐도 산문은 본다. 산문 원고료도 괜찮은 편이다. 몇 개만 써도 한 달 살 수 있으니까. 잡지에서 원고료 받고 거기에서 원하는 글을 써주다 보니까 산문집이 어수선하다. 나는 산문 쓰기가 더 어렵다. 시 쓰는 사람은 시 쓰는 게 제일 쉽다. 시를 쓰고 싶은데 살아가야 하니까 산문을 쓰는 거다. 시 쓰는 사람은 가급적 산문은 안 쓰는 게 좋을 것 같다. 짧은 산문 하나 쓰면 시를 쓰려고 생각했던 것들, 즉 시 2-3편이 모두 산문 한 구절에 다 들어가버린다. 최승호 시인의<반딧불 보호구역>도 산문 썼던 걸 시집으로 바꿔 버린 거다. 그러니까 난 산문 청탁이 오면 후배 이정록 시인에게 넘겨버린다. 그가 더 잘 쓴다고 추천하는 거다. 그러면 이정록 시인에게서 전화가 온다.“형, 왜 자꾸 나에게 맡겨요? 내가 라이벌이니까 내가 시 더 잘 쓰니까 못쓰게 하려고 산문 떠넘기는 거죠?”

그럼 뭐라고 대답하나? “어떻게 알았어?”라고 말하나?
“그렇게 산문 쓰고 시 써도 내가 못 따라가.”최승호 시인이 언젠가 만났을 때 나에게 경제적으로 정 힘들면 마음을 안 다치게 동시를 쓰라고 하셨다. 동시를 쓰면 시 쓰는 데도 도움이 될 거라고.

시인을 만나면 꼭 물어보고 싶은 게 있었다.‘2006 젊은 시’라는 책을 가끔 보면 요즘 젊은 시인들의 시가 다 비슷한 것 같다. 심지어 문장이나 어휘도 비슷하다. 그 시들을 읽고 있으면 과연 우리가 좋은 시라고 판단하는 기준은 무엇일까, 궁금해진다.
대학교 때 이근배 선생님께 한 학기 수업 들은 적 있었는데 그러시더라. 시에 ‘나폴레옹하는 절망’이라고 썼는데 사람들이 ‘ 멋있다’고 난리가 났다는 거다. 그런데 그게 실은 ‘나를 포옹하는 절망’의 오타였다고 하더라(웃음). 젊은 사람들의 시가 너무 새로워서 무슨 얘긴지 모르겠다. 너무 어렵다. 다 새로워서 하나도 안 새롭다. 그쪽으로 너무 몰려가는 건 아닌가 싶다. 내가 이해를 못해서 그런지…(웃음). 시의 본령이 거기에 맞는가라는 생각 든다. 시라는 건 사람의 마음이니까, 시를 보고‘나도 이런 생각해봤어’라는 공감을 느끼게 해주는 게 시가 아닐까. 박상순 시인의 시 같은 경우 읽기 힘들어도 그런 느낌은 분명 있었다. 우리가 시를 다 이해할 필요는 없으니까. 문학 잡지들 보면‘젊은 시인들 특집’이라는 데 다 모르겠더라. 어렵고 길다. 짧아도 무슨 말인지 모르는데 너무 길다.

그들의 시에 비하면 함민복의 시는 너무 착한 것 아닌가? 이번 산문집도 너무 착하다. 단순한 거지.
더 단순해졌으면 좋겠다. 새로운 표현도 중요하지만 그런 게 새로운 거라면 낡은 게 더 새로울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 않아도 이번에 낸 산문집 소개를 보니까 너무 익숙한 것들로 포장돼 있어서 좀 그렇다. 만날 얘기 나오는, 가난하고, 뭐 그런 것들. 이번에는 의도적으로 개인적인 얘기도 많이 뺐는데.

가난 얘기가 자꾸 나오는 게 싫은가 보다.
그렇다. 가난하지 않으니까. 잘 산다, 그냥. 뭐가 가난하다는 건지 모르겠다. 밥 먹고 술 사먹고 담배 두 갑 사서 피우고, 잘 산다. 전화기도 핸드폰 있지 집 전화기 있지 두 개씩이나 가지고 있고. 인터넷도 하고.

얘기하고자 하는 정서가 ‘가난’과 연결되어 있으니까 그런 걸 거다. 그리고 사람들은 시인과 가난을 연결시키길 좋아한다.
그래서 인터뷰 하기 싫었다. 너무 그쪽으로 맞추니까. 그게 전부인가, 하는 생각도 들었다. 다른 글을 써도 비슷하게 봐버린다.

강화도에서 홀로 시를 쓰면 외롭다는 생각도 들텐데, 왜 나는 시를 쓸 수밖에 없었나, 그런 생각은 들지 않나? 자신이 선택한 삶인가?
(하늘이) 주신 것도 없고. 그냥 그렇게 사는 것 같다. 내가 성격이 이래서…. 요즘은 나이에 대한 두려움도 생긴다. 책 보면 저자 약력이 나오지 않나. 이 사람은 이 나이에 벌써 이런 걸 했구나, 난 그럼 뭘 했나, 싶고.

나이 사십이 넘으면 저승 갈 때 필요한 보따리를 챙겨야 한다는데.
대책 없는 것 같다.

그래도 다시 살라고 하면 또 그렇게 살지 않았을까?
운동 선수 했을 것 같다. 축구 선수.

예전에 쌍절곤도 잘 돌렸다고 들었다. 유하 감독이 <말죽거리 잔혹사>에 출연시키려고도 했다던데.
유하 감독이 <이소룡 세대에 바친다> 출판기념회 때 나보고 쌍절곤 돌리라고 했었다. 우리 세대가 바로 이렇게 쌍절곤 잘 돌리는 이소룡 세대라는 걸 보여주기 위한 거라고. 못한다고, 쌍절곤 없다고 했더니 자기가 사오겠다고 한다. 그래서 결국 시범 보였다. 그때 사람들이“와, 너무 잘한다”고 그랬다. 잘하긴 잘했다(웃음).

잘하긴 잘했다고?
그럼. 쇠사슬 몇 개를 끊어먹었는데. 학교 다닐 때 태권도부 했다. 문예부 안 하고. 고등학교(수도전기공고)에 들어가서는 아무것도 안 했으니까. 심심하고 할 일 없으면 옥상 가서 쌍절곤 돌렸다. 하기 싫은 과목들투성이었는데다가 공부해도 다 거기서 거기다. 그리고 공부 잘하면 대학교 보내주는데 대학교 가면 9년 동안 원자력 발전소에서 근무해야 했다. 대학교 안 가면 5년만 근무해도 되고. 그래서 더 공부 안 했다.

문학보다 무술을 더 좋아한 건가?
문무를 겸비한 거라고 해두자(웃음). 축구 선수 안 해서 다행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미안한 마음> 뒤표지에 소설가 박민규가 지구에서 할 수 있는 근사한 일 중 하나가 함민복의 시를 읽는 것이라고 썼듯이. 그렇지 않아도 조금 있다가 박민규에게 물어보려고 한다. 오늘 문인들과 술자리가 있는데, 거기 박민규도 온다고 하더라. 분명 지구에서 할 수 있는 근사한 일 중 하나가 함민복의‘시’를 읽는 일이라고 했다. 산문집 뒤표지에 그렇게 쓴 건 나보고 산문을 쓰지 말라는 얘긴가, 물어볼 거다(웃음).

    에디터
    나지언
    포토그래퍼
    권태헌

    SNS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