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KBL, 몰라요

2012.03.12유지성

한국 프로농구엔 이상한 제도가 참 많다. 게다가 자주 바뀌기도 한다.

귀화 혼혈 선수는 3년이 지나면 무조건 팀을 떠나야 한다.
김효범은 국적법상 캐나다인이다. 이승준은 한국인이다. 다시 말해, 이승준은 국가대표에 뽑힐 수 있다. 김효범은 안 된다. 실제로 이승준은 2010 광저우 아시안게임에서 뛰어난 활약을 보인 선수 중 하나다. 그러나 이승준은 올 시즌이 끝난 후 본의와 상관없이 삼성 썬더스를 무조건 떠나야 한다. 김효범은 팀이 자신을 내치지 않는 이상, 한 팀에서 계속 뛸 수 있다. 각각 이승준은 귀화 혼혈 선수, 김효범은 해외 동포 선수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국적보다 피부색이 우선인 것이다. 3년 내 귀화라는 조건을 받아들인 귀화 혼혈 선수들은, 역설적으로 한 팀에서 뛴 지 3년이 지나면 팀을 옮겨야 한다. 전태풍은 얼마 전 “나도 한국 사람이 되었으니 한국 사람처럼 대해줘야 하는 것 아닌가? 이건 차별 아닌가?” 라며 불만을 드러냈다. 전태풍은 KCC에, 이승준은 삼성에 없어선 안 될 선수지만 이제 그들은 팀을 옮겨야 한다. LG의 문태영도 마찬가지다. 선수는 옮기는 팀을 고를 수도 없다. 현재 귀화 혼혈 선수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팀들이 영입하고 싶은 선수를 순서대로 적어내고, 그중 가장 높은 금액을 써낸 팀으로 가야 한다. 소모품 경매나 다름없다. 삼성의 이승준과 KCC의 전태풍은 명실공이 팀에서 가장 인기 있는 선수다. 용병과 국내 선수의 장점이 골고루 있다. 용병처럼 쇼맨십이 뛰어나지만 국내 선수만큼 친근하다. 근본이 자꾸 바뀌는 팀을 사랑할 팬은 드물다. 구단 입장에서도 손해다. 3년 만에 떠날 선수의 유니폼을 팬들이 선뜻 살 수 있을까? 게다가 제일 잘하는 선수가 3년마다 한 번씩 바뀌니, 장기적인 팀 운영계획 수립이 불가능할 수밖에 없다. 빈번한 트레이드가 필연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용병 선발제도는 왜 매년 바뀔까?
올 시즌을 앞두고 KBL은 외국인 선수 규정을 기존의 2인 보유, 1인 출전에서 1인 보유, 1인 출전으로 바꿨다. 두 명에게 줄 돈을 한 명에게 몰아줘 수준 높은 용병을 국내 리그에 소개하고, 국내 선수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라는 취지였다. 그러나 한 시즌을 겪어보기도 전에 구단과 감독들은 시즌 운영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용병이 다치거나 지치면 경기 운영 자체가 어렵고, 용병의 실력 차가 곧 팀의 전력 차가 된다는 볼멘소리였다. 결국 KBL은 시즌의 절반이 지나기도 전에 2인 보유, 1인 출전으로의 회귀를 발표했다. 그러나 분명 올해 KBL엔 그간 볼 수 없던 새로운 변화가 일었다. 신인 빅맨인 오세근이 MVP 후보로 거론되고, 주태수와 이현호 등 그간 활약하지 못했던 국내 중견 빅맨들이 제자리를 찾은 것이다. 15년간 어떤 제도적 변화로도 해결하지 못했던 한국농구의 과제가 풀릴 기미가 보였다. 용병이 지치니, 용병이 한 명 더 필요하다는 말은 국내 선수를 쓸 맘이 없다는 말과 크게 다를 바가 없다. 게다가 현재 10개 구단의 용병 중 KCC의 드션 심스를 제외하곤 모두 한국 리그를 경험한 선수들이다. 경력이 화려한 새 용병들은 한국 농구에 적응을 못했고, 이미 한국을 잘 아는 선수들이 대체용병으로 자리를 꿰차고 들어온 것이다. 결국 구단의 입장은, 새 용병을 발굴하고 기용하겠다는 것이 아니라, “익숙한 대로 하자”에 가깝다. 내년부터는 용병 선발 방식이 자유계약에서 다시금 드래프트제로 전환된다. 고질적인 뒷돈 거래에 대한 의혹 때문이다. 구단은 더더욱 공들여 용병을 조사하고 데려올 필요가 없게 되었다. 국내에서 검증된 선수들이 드래프트에 참가해, 익숙한 팀의 선택을 받을 것이다. 리그에 필요한 건 새로운 제도가 아니라 시간이다.

자유롭지 않은 자유계약 선수들
얼마 전 KBL은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자유계약(FA)제도를 ‘노예계약제도’라 표현한 김승현에게 엄중경고 조치를 내렸다. 현행 FA 제도는 자유로운 점이 거의 없다. FA 자격을 얻은 선수는 일단 원 소속 구단과 협상을 한다. 여기에서 원 소속 구단이 팀 연봉상한선의 30퍼센트인 6억원을 제시하면 그 구단과 무조건 계약을 해야 한다. 즉, 에이스급 선수들은 팀을 옮기기가 거의 불가능하다. 주전급 선수들은 더 난처하다. 원 소속 구단과의 협상 실패로 시장에 나오면, 무조건 가장 높은 연봉을 써낸 팀으로 가야 한다. 선수들 중엔 분명 돈보다 우승을 원하거나, 고향 팀에서 뛰고 싶은 선수가 있을 것이다. 주전이 보장되는 팀이나, 선호하는 감독 밑으로 가고 싶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런 의견은 반영되지 않는다. 그렇다고 여러 팀이 영입 의지를 보이는 것도 아니다. 보상 규정이 까다로워서다. 전체 선수 중 연봉 30위 안에 포함된 선수가 이적할 시, 선수를 영입한 팀은 보호선수 네 명을 제외한 보상선수 한 명을 내주고 영입한 선수의 연봉의 100퍼센트를 지불해야 한다. 보호선수가 네 명뿐이란 말은, 특정 선수를 영입하려면 팀의 주전 선수 한 명을 내줘야 한다는 뜻이다. 한편 KBL은 현재 한 선수의 연봉이 전체 팀 샐러리캡의 30퍼센트를 넘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 제도가 생기기 전에 계약해 올해 7억을 받고 있는 김주성은 여전히 잘하고 있지만, 새로운 FA 계약을 체결해야 하는 내년엔 어쩔 수 없이 연봉이 깎인다. 연봉 부담이 되레 줄어든 동부는 당연히 최고금액을 제시할 테니, 이적도 불가능에 가깝다. 물론 김주성이 스스로 잔류를 원할 수도 있지만, 잘하고 있는데도 연봉이 깎이는 건 억울한 일일 것이다. 최근 4년간 연봉 20위 안의 선수가 FA 시장에서 이적한 사례는 단 두 건뿐이다.

    에디터
    유지성
    아트 디자이너
    일러스트레이션 김상민

    SNS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