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예지 왈

2016.01.27유지성

<언프리티 랩스타 2>의 미친개, 예지가 콱 물었다. “제 캐릭터가 뭔데요?”

1

톱은 세컨플로어, 귀고리와 초커는 모두 쥬얼카운티.

2

원피스는 카이, 초커는 쥬얼카운티.

곧 나올 솔로 앨범에서도 역시 ‘센 여자’인가요? 어제 커버 찍었어요. 세긴 센데, ‘미친개’나 ‘함부로 해줘’ 할 때랑은 다르게 몽환적인 느낌.

여자 팬이 많죠? 여성 팬이든 남성 팬이든 저를 있는 그대로 좋아해주시는 것 같아요. <언프리티 랩스타 2>에서의 강한 모습까지도.

<언프리티 랩스타 2>에선 카메라가 돌아가든 말든 예뻐 보이려는 노력, 이른바 ‘예쁜 척’이라고는 안 했어요. 그게 비결 아닐까요? 저도 예쁜 척하는 거 되게 안 좋아해서요. 또 제가 인형처럼 예쁜 얼굴은 아니고요. 사실 피에스타로 활동할 때는 제 얼굴은 왼쪽이 더 예쁘고, 이 각도에서 찍는 게 좋다는 식의 얘기를 해요. 뭐 말할 때도 미리 정리해두고. 그런데 <언프리티 랩스타 2>를 할 때도 그러면 너무 계산적으로 보일 것 같았어요. 또 촬영장에서 카메라가 잘 안 보였어요. 발 같은 거 있잖아요. 그런 걸로 카메라 가려놨거든요.

그렇다면 <언프리티 랩스타 2>의 예지야말로 진짜 예지인가요? 음… <언프리티 랩스타 2>는 녹화 시간이 정말 길어요. 첫 화는 40시간을 찍었어요. 제가 24시간 365일 화가 나 있으면 정말 문제가 있는 사람이겠지만, 누구나 맘속에 칼날 하나씩은 갖고 있다고 생각해요. 그걸 표현하는 방식이나 타이밍이 다른 거죠. 저는 솔직해보고 싶었어요. 그렇다고 비윤리적이거나 논리에 안 맞는 행동을 하진 않았으니까 많은 분이 공감해주셨겠죠?

화는 내도 억지를 부리진 않았어요. 경쟁 구도를 이룬 수아와의 승부에서 가사를 까먹었을 땐 자진 탈락을 요청하기도 했죠. 억지 부리는 거 싫어해요. 그리고 다 같이 있는 현장에선 그냥 “아, 네네” 하다가 나중에 개별 인터뷰에서 “저건 아니죠”라고 얘기하고 싶진 않았어요. 그리고 저는 화가 나면 날수록 좀 더 이성적인 타입이에요.

오히려 화가 났을 때 정신을 차리는 것 같았어요. 느슨하게 있다가도 바짝. 진짜 화 한 번 낼 때도 생각 많이 하거든요. 받아칠 수 있으면 받아쳐봐, 하는 맘이에요. 느슨해 보였던 건, 예를 들어 녹화 40시간 동안 한 30시간은 웃었어요. 그러다 한 10시간 “아 피곤해, 힘들어” 하는 장면을 압축하면 얼마든 그런 모습이 강조될 수 있죠. 물론 그것도 저의 일부예요.

이를테면 1~2화 때는 악역이었죠. 서바이벌 프로그램마다 꼭 있는. 그랬나 봐요. 악역이라곤 생각 안 했는데. 그냥 방송 보면서 “와, 진짜 어지간히 멍청해 보이네” 그랬어요.

이런 생각도 했어요. 카메라 진짜 안 무서워한다. 별로 신경 안 썼어요. 피에스타로 데뷔했을 때만 해도 무서웠어요. 이상하게 나오면 어떡하지? 내 말이랑 다른 의도로 해석되면 어떡하지? 지금은 뭐든 부딪혀야 된다고 생각해요. 지레 겁먹으면 뭐든 절대 안 늘어요. 단점을 안 고치면 문제가 되지만, 그걸 고치면 사람들이 인정해주잖아요. 아, 달라졌다고.

그러니 예지야말로 서바이벌 프로그램에 최적화된 사람 아닌가요? 부딪히고, 깨지고, 다시 일어서고. <언프리티 랩스타 2>는 예지의 성장 드라마 같아 보이기도 했어요. 그래서 “출연한 거 후회 안 해요?”라고 누가 물으면, <언프리티 랩스타 2>는 저한테 최적화된 방송이라고 대답해요. 하하. 한마디로 말하면 스물두 살의 예지를 담아내준 프로그램. 1화부터 10화까지 많은 게 바뀌었거든요.

하지만 막바지쯤엔 제작진에 대한 불만도 좀 있는 것 같았어요. 탈락자 리매치 무대에서 이렇게 말했죠. “애초에 짜놓은 각본. (중략) 그 안에서의 나. 그저 주인공을 빛낼 들러리일 뿐. (중략) 뗐다 붙였다 니네 맘대로 다 해봐. 마지막까지 나 절대 복종하지 않아.” 서로 소통할 길이 없었어요. 시간이 진짜 부족했거든요. 예를 들어 디스전을 해요. 끝나자마자 “예지 씨는 도끼 팀 누구는 더 콰이엇 팀. 자, 랩 쓰세요. 내일 공연입니다.” 이렇게 되는 상황이에요. 그러면 디스전 때문에 밤새 연습했는데, 또 랩 쓰고 외워야 하잖아요. 그러다 다음 날 어디 하나 실수하면 제 탓이 되는 거고요. 그건 싫으니까 또 밤새는 거예요. 몸이 너무 힘들죠. 사실 정신적으로는 안 힘들었어요. 3화 때 탈락할 뻔했잖아요. ‘미친개’ 한 날. 그때도 덤덤했어요. 그저 떨어지더라도 하고 싶은 말은 하고 떨어져야지. 끝. 작가 언니랑 무대 끝나고 인터뷰할 때도 “탈락 안 했으니 더 열심히 해야죠”라고 한 게 다였어요.

제작진이 특별히 재미있는 캐릭터라 판단하지 않았을 테니, ‘미친개’ 전까진 분량도 적었고요. 극적인 순간 인터뷰가 너무 딱딱하니까 “예지 씨, 감정 더 넣어서” 같은 얘기도 하시더라고요. 그래서 그때도 연기하라는 말씀이냐고, 지금 기쁘지도 슬프지도 않은 제 감정을 얘기하고 있는 거라고 했어요. “정말 화나면 화를 낼 것이고, 기분 좋으면 밝게 웃을 테니 강요하지는 말아주세요”라고도. 그래서 좀 재미없는 애구나, 생각하셨을 수도 있어요. 그러고 나서 이제 진짜 저를 알게 된 거죠. 감정 기복이 일어날 만한 일들이 생기기 시작했으니까.

‘미친개’에선 뭐가 그렇게 화가 났던 거예요? ‘미친개’는 방송 출연 2주 전쯤 썼어요. 좀 막막하던 때였어요. 제가 소속사에 처음 온 게 열다섯 살 때고, 피에스타로 데뷔한 게 2012년인데 지금 스물세 살이거든요. 과연 잘하고 있는 걸까? 내가 하고 있는 게 뭐지? 하는 기분. 웬만해선 남 말에 신경 안 쓰는데, 어느 순간부터 “그만큼 했는데 안 되면 안 되는 거야. 그만둬” 같은 얘길 하는 사람들이 너무 늘어나는 거예요. “그만둬”까진 괜찮은데, “다 너 걱정해서 하는 말이야”가 정말 싫었어요. 온갖 나쁜 말은 다 뱉어놓고 자기는 나쁜 사람 아니다, 이거잖아요. 정말 누구 하나 확 물어버리고 싶을 때 30분 만에 완성한 가사예요.

‘미친개’도, 디스전에서도 “그저 내가 최고”라는 식의 섀도 복싱을 하는 것처럼 보이진 않았어요. 구체적인 감정과 대상이 그 안에 있었죠. 그래서 항상 얘기했어요. 들으면 찔리는 분들 있을 거라고.

3

점프 수트는 맥앤로건, 팔찌는 라베노바.

<언프리티 랩스타 2>에선 화가 날 때마다 랩으로 풀 수 있었어요. 하지만 그 틀 밖에선 아이돌 그룹 피에스타의 멤버로 살아야 하죠. 감정이 쌓이면 어떻게 해소해요? <언프리티 랩스타 2> 하면서도 그렇게 막 푸는 느낌은 아니었어요. 디스전을 할 때도 상대였던 수아한테 얘기했어요. 엄청 세게 써 오라고. 욕하라고. 나도 그렇게 할 거라고. 우리 둘 다 멋있게 하면, 설사 한 명이 아쉽게 탈락하더라도 구제될 수 있을 거라고. 시청자들이 봤을 때도 둘 다 승자일 테고. 누굴 꺾는다기보다 같이 살자는 맘이었죠. 다 잘되자고 나온 건데.

과연 예지의 그 독한 디스 랩을 받은 상대도 그렇게 생각할까요? 그랬으면 하는 맘이에요. 미션은 미션이잖아요. 어쨌든 프로그램에 나온 이후부터는 선택사항이 아닌 거죠. 의무지. 이 미션은 내가 착해 보이니까 할 거고 나빠 보이니까 안 할 거야, 라는 마음가짐이라면 탈락해야죠. 그런데 또 탈락은 하기 싫잖아요. 그러면 잘해야지.

사실 예지는 제대로 디스 당한 적이 없어요. 수아는 가사를 까먹었고, 트루디는 저격이 아닌 자기 얘길 했죠. 디스 당했어도 안 흔들렸을 거예요. 방송 중 인터뷰 때도 “피에스타 망했다 그러면 기분이 어때요?”라고 물어서 “망했잖아요” 그랬어요. 저는 인정이 빨라요. 하지만 “피에스타 열심히 안 했잖아”라고 말하면 기분 나쁘죠.

<언프리티 랩스타 1>의 우승자는 치타였지만, 사실 가장 수혜를 입은 건 제시일 거예요. 확실한 캐릭터가 있었던 참가자. 예지야말로 그런 경우 아닌가요? 제가 곧 <해피투게더>에 나와요. 이상형 토크 하다가 저를 좀 눌러줄 수 있는 남자가 좋단 얘길 했는데 다른 분들이 “캐릭터예요? 콘셉트예요?” 그러시더라고요. 저는 항상 되묻거든요. “제 콘셉트가 뭔데요?” 그냥 해야 할 말은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뿐인데. 그게 센 건가?

적어도 촬영장에서 세 보이려 하는 사람은 아닌 것 같아요. 왜 그래야 하는지 모르겠어요. 좋은 결과물을 만들려면 서로 커뮤니케이션을 해야 하는데, 내가 센 척해서 나아지는 게 뭔지. 상대방이 자기를 무서워하길 바라는 건가? 그냥 “쟤 뭐야” 생각할 뿐이잖아요.

하지만 기분파죠? 그렇죠. 무대에서도 그래요. 내려오면 기억 안 나요. 방송 보면서 내가 저랬구나, 알지. 재미있었다는, 그때의 감정만 남아 있어요.

그야말로 본능이네요. 가사를 제가 썼으니 진짜 제 감정이잖아요. 오버 보태서 한 만 번쯤 연습한 가사니까, 툭 치면 나와요. 무대에서까지 가사를 곱씹고 있으면 아무도 제 랩에 공감 못했을 거예요. 그때 몰입해야 되는 건 내 감정인 거죠.

그래서 요즘 기분은 어때요? 계속 좋아요. 기분 좋게 바빠졌으니까. 착착 계단을 오르는 느낌?

    에디터
    유지성
    포토그래퍼
    김참
    스타일리스트
    김봉법
    헤어
    신재(제니하우스)
    메이크업
    송이(제니하우스)
    어시스턴트
    조혜령
    장소 협찬
    신사장

    SNS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