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art

MBTI ‘T’ 유형은 정말 공감 능력이 없는 걸까?

2023.12.07신기호, 전희란, 김은희

결론부터 말하면, 아니다.

글 / 오진승 (정신건강의학과 의사, 온라인 콘텐츠 창작자)

최근 몇 년 사이 MBTI와 관련된 밈이나 유튜브 콘텐츠들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이른바 MBTI 열풍이다. 온라인뿐만 아니라 직장 동료들이나 친구들과 MBTI를 함께 검사해보고 서로의 MBTI를 맞추어보거나 아이스 브레이킹 용도로도 인기다. MBTI를 구성하는 8가지 지표 중에서도 ‘T’ 유형에 대한 밈이나 콘텐츠가 유독 많다. “너 혹시 T야?”, “T발놈” 등 밈에서 ‘T’는 공감 능력이 결여된 AI, 기계와 같은 문제적 유형으로 여겨지고 있다. 과연 T 유형은 공감 능력이 결여된 사람들일까? 결론부터 말하면, 아니다.

T(Thinking) 사고 유형은 원리 원칙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상황을 최대한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현실적인 해결책을 찾으려 하고, 옳고 그름에 따른 판단을 선호한다. 반면 F(Feeling) 감정 유형은 인간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당장의 해결책을 찾기 보다는 자기 자신이나 다른 사람의 감정에 관심을 가지려 하고, 좋고 싫음에 따른 판단을 선호한다. 이렇게 설명을 들으면 T 유형은 공감과는 거리가 먼 것이 맞다고 느낄 수 있지만, 사실 공감을 위해서는 T 성향과 F 성향을 모두 가지고 있어야 한다.

나의 이야기를 예로 들어본다. 우울감이나 불안감, 스트레스 등 힘든 상태로 정신과를 찾는 환자를 진료할 때 내원하기 전까지의 힘들었던 상황을 경청하고, 당시 환자가 느꼈을 감정에 공감하려고 노력한다. 여기서 중요한 건 환자의 이야기를 내 생각이나 기준으로 판단하며 듣는 것이 아니라, 환자의 상황을 최대한 객관적으로 정확하게 파악해서 당시 환자가 어떤 감정을 느꼈을지 가늠해보는 것이다. 의사의 감정이 지나치게 앞서 환자의 이야기를 충분히 듣지 않고 환자의 상황을 대략적으로 짐작한다거나, 주관적으로 판단하는 것은 환자에게 충분히 공감한다고 볼 수 없다. 어렵게 자신의 이야기를 털어놓고도 여전히 혼란스러워하는 환자도 많다. 내과나 이비인후과 같은 다른과 병원에 방문한 것과 달리, 정신과에 방문한 환자는 자신이 나약하고 의지가 약해서 병원에 온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은 의지 부족이나 나약함 때문이 아니라, 환자의 뇌에서 신경 전달 물질의 교란으로 발생한 증상임을 잘 설명하고 치료 방법과 치료 기간을 설명한다. 이렇게 팩트를 확실하게 전달하는 T 유형에 해당하는 설명에 환자는 오히려 안심이 되고 편안해졌다고 반응하는 경우가 많다.

효과적으로 공감하기 위해서는 T의 사고와 F의 감정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보다 밸런스가 맞는 편이 더 좋다. 2가지 유형의 장점을 다 갖고 있으면 참 좋겠지만, 완벽한 사람은 없다. F가 보기에 T의 행동은 잘 이해되지 않겠지만, “T발놈”이라느니 AI처럼 대하듯 하기보다는 T 나름대로 자기만의 방식으로 위로하고 공감하려고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더 긍정적인 공감대가 형성될 것이다. 부디 새해에는 “너 T야?”가 조롱거리가 되지 않길 바란다.

이미지
게티이미지

SNS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