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습기만큼 강력한 효과는 아니더라도, 없는 것보다는 조금 나아진 쾌적함을 느낄 수 있다.

향초
향초에 불을 붙이면 향초가 타면서 주변의 습도를 낮춰주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좋은 향을 발산하기 때문에 습도 높은 실내 특유의 꿉꿉한 냄새를 잡아주고 공기를 향기롭게 만들어주는 효과 면에서 더욱 만족도가 높다. 하지만 향초를 너무 오래 태울 경우 오히려 실내 공기가 나빠지기 때문에 1시간 이상 켜지 않도록 하고 환기도 꾸준히 시켜주는 것이 좋다.
커피 찌꺼기
커피를 내려 마시고 난 뒤 남은 찌꺼기를 잘 말려두었다가 집 안 곳곳에 놓아두면 습기 제거 및 악취 제거에 좋다. 이때 그냥 두면 커피 가루가 날리기 쉬우므로 천에 감싸서 두거나 신문지 등에 싸서 두도록 한다. 사실 제습 효과보다는 탈취 효과 면에서 만족도가 높고, 커피 특유의 은은한 향이 집 안에 퍼지는 효과도 있다.
숯
숯도 그릇에 담아 집 안 곳곳에 비치해두면 숯에 있는 작고 미세한 구멍이 습기를 빨아들여 습도 관리에 도움이 된다. 유해 물질을 흡수해 공기 정화 효과도 있고, 음이온을 방출해 실내를 보다 쾌적하게 유지해준다. 하지만 적은 양의 숯으로는 효과를 보기 어려우니 참숯을 넉넉하게 구입할 필요가 있다. 또 흐르는 물에 헹궈 먼지, 불순물을 깨끗이 제거한 뒤 잘 말려서 사용해야 한다.
굵은 소금
굵은 소금도 습기를 빨아들이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페트병이나 그릇에 굵은 소금을 담아 집 구석구석에 비치해두면 소금이 습기를 빨아들여 눅눅해진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이때 다시 전자레인지에 1~2분 돌려 건조하면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선풍기
선풍기를 틀어 기류를 원활하게 만들면 기화를 통해 습도를 낮추는 효과도 볼 수 있다. 또한 습도가 높더라도 바람이 잘 불면 열 발산이 촉진되어 불쾌지수가 낮아지게 된다. 비가 오더라도 하루 종일 창문을 닫고 답답해할 것이 아니라, 주기적으로 환기도 하고 선풍기도 틀면서 신선한 공기를 마시는 편이 훨씬 쾌적할 수 있다.
얼린 페트병
놀랍지만 페트병로도 습도를 잡을 수 있다. 페트병에 물을 담아 냉동실에 넣고 꽁꽁 얼린 뒤 습기가 찬 곳에 꺼내놓고 밑에 그릇을 받쳐두면 공기 중의 습기가 페트병 표면에 달라붙어 물이 줄줄 흘러내리는 것을 볼 수 있다. 실내 습도도 내려가고 온도도 낮아질 수 있는 훌륭한 방법이다. 선풍기 앞 또는 뒤에 얼린 페트병을 두면 시원한 공기가 나와 에어컨과 비슷한 냉방 효과를 볼 수 있다.
신문지
신문지도 수분을 잘 빨아들이기 때문에 습도를 낮추는 데 도움이 된다. 특히 습도가 높아 빨래가 잘 마르지 않을 때 신문지를 빨래 건조대 아래 깔고 빨래 사이사이에 걸어두면 빨래가 좀 더 빨리 마르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습해져 곰팡이가 생기기 쉬운 신발장 안에도 신문지를 깔고 둥글게 말아 곳곳에 놓아주는 것이 좋다.